이사를 가게 되면서 아이방을 꾸며주려는데, 침대 사이즈부터 시작해서 책장과 옷장 사이즈까지 고민이 많이 듭니다. 특히 침대 사이즈에 대한 혼동이 생겼을 텐데요. 이 글에서는 침대 사이즈 규격 종류 및 적합침대 추천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우리나라에서는 싱글, 슈퍼싱글, 더블침대, 퀸, 킹, 라지킹 사이즈로 대략구분이 가능합니다. 그리고 두께는 보통 200mm로 통일되어 있습니다.
침대 사이즈 규격 알아보기
1. 싱글(S) 침대 사이즈
사이즈: 1000가로 × 2000세로
싱글 침대는 아이방이나 부부 침대를 싱글 침대 2개로 변경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. 초등학생까지는 싱글 침대가 괜찮을 것 같아요. 아이들이 같이 자기에도 싸울 때는 각자 떨어져 자고, 안 싸울 때는 다시 붙어 자기도 하죠.
2. 슈퍼싱글(SS) 침대 사이즈
사이즈: 1100가로 × 2000세로
혼자 살거나, 작은 방에 손님방을 꾸미려면 슈퍼싱글 침대가 좋습니다. 원룸이나 중학생 이후 아이들의 방에 설치해도 딱 좋을 것 같아요.
3. 더블 침대(D) 사이즈
사이즈: 1400가로 × 2000세로
더블 침대는 둘이 자기에는 좁고, 혼자 있는 큰 방에서 사용하기 좋아요. 싱글 침대 2개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지만, 사이즈를 보면 꼭 그렇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어요.
부부 중에서 둘이 함께 잠자리 습관이 비슷하다면 괜찮지만, 그렇지 않다면 추천하지 않습니다.
4. 퀸(Q) 침대 사이즈
사이즈: 1500가로 ×2000세로
퀸 침대는 신혼가구로 가장 많이 선택되는 사이즈입니다. 퀸 또는 킹은 취향과 잠자리 습관에 따라 선택하면 되겠어요.
5. 킹(K) 침대 사이즈
사이즈: 1600가로 × 2000세로
사람의 평균 너비가 65-75 정도라고 하는데, 부부 사이에 5cm 정도면 약간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고, 10cm 정도면 서로 가벼운 움직임까지 커버할 수 있어요. 잠자리가 고약한 분들은 15 cm20 cm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.
6. 라지킹(LK) 사이즈
사이즈: 1700가로 × 2000세로
국내에서는 주로 보통 퀸, 킹, 싱글, 슈퍼싱글이 선택되는 것 같아요. 아이나 반려동물과 함께 잔다면 라지킹사이즈 추천드립니다.
매트릭스 적합침대 결정방법
매트리스는 제조국가와 브랜드에 다라 규격과 명칭이 다르기 때문에 따로 고려해야 합니다. 제조공정상 2-3cm정도는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.
해외사이즈 유의사항
해외는 가로폭이 넓게 출시가 되는 반면에 국내는 가로폭이 조금 좁습니다. 그래서 해외제품을 고려하실 때 킹이상부터는 가로사이즈가 차이가 많이 납니다.
한국 침대사이즈 | 가로 X 세로 (mm) | 해외 침대사이즈 | 가로 X 세로(mm) |
싱글(S) | 1000 x 2000 | 트윈 엑스라지(Twin XL) | 970 x 2030 |
슈퍼싱글(SS) | 1100 x 2000 | 풀(Full) | 1350 x 1910 |
더블(D) | 1400 x 2000 | 풀 엑스라지(Full XL) | 1350 x 2030 |
퀸(Q) | 1500 x 2000 | 퀸(Q) | 1520 x 2030 |
킹(K) | 1600 x 2000 | 킹(K) | 1930 x 2030 |
라지킹(LK) | 1700 x 2000 | 캘리포니아킹(CK) | 1830 x 2130 |
잘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거리
세로폭의 경우에는 키보다 20-30cm 정도 여유를 두면 베개공간까지 넉넉하게 됩니다. 가로폭은 두 명 사이에서 5-10CM 정도가량을 유지하시면 바깥방향도 10cm 이상 확보해야 침대에서 움직일 때도 불편함이 없습니다.
몸부림이 심하다면?
한 명이라도 잠버릇이 심하거나 뒤척인다 그러면 킹사이즈를 확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 라지킹은 둘 다 몸부림이나 잠버릇이 심할 경우 사용하시는 것이 괜찮습니다. 몸부림이 없으시다면 퀸사이즈도 나쁘지 않습니다. 부모가 어린이나 반려동물과 함께 자는 경우에도 라지킹사이즈가 적당합니다.
이렇게 해서 침대 사이즈에 대해 간략히 알아봤습니다. 아이방을 꾸미거나 새 집을 꾸미는 여정이 기대됩니다. 골치 아픈 침대 사이즈 선택 고민을 덜어주는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<함께 보기 좋은 자료>
대형 폐기물 처리하는 방법
이사를 하거나 집에서 물건을 버릴떄 대형폐기물을 처리해야합니다. 그런데 어떻게 버려야할지 모르고 그냥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. 폐기물을 처리신고하지 않고 버릴시 과태료가 부
hgaby.tistory.com
'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돗물 마셔도 되나? 알아보기 (0) | 2023.11.07 |
---|---|
전세대출 특약 필요 조항 알아보기 (0) | 2023.11.05 |
전세 월세 선택하는 방법 - 금리 확인 (0) | 2023.11.03 |
침대 방수 커버 사용 추천하는 이유 (0) | 2023.11.03 |
임대차보호법 개념 및 체크리스트 알아보기 (0) | 2023.11.01 |
주택임대차계약 신고제 요건 및 신고방법 (0) | 2023.11.01 |
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온 오프라인 발급방법 (0) | 2023.11.01 |
상가임대차보호법 중요사항 요점정리 (0) | 2023.11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