편향은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을 의미합니다. 정상적이고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살다 보면 많습니다. 우리는 여러 가지 심리학적 편향을 알고 옳음과 그릇됨을 판별할 때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합니다. 여러 가지 편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우리가 갖고 있는 의식 무의식적 편향
확증편향 - 확증편향은 편향 중 가장 일반적인 사례입니다. 새로운 정보들이 우리가 갖고 있는 기존의 이론과 세계관, 확신하는 정보들과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 새로운 정보를 배척합니다. 이유는 자신의 신념에 허점이 생기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
사후확신 편향 - 나는 이미 알고 있다는 감정을 느낍니다. 정답이 나오면 아 나 이거 원래 알고 있었다는 반응을 보이는 현상입니다.
행동편향 - 우리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리는 고통을 참지 못합니다. 아무리 인간이 행동하는 것을 선호하며 빠른 보상을 얻는 법이라 한들 상황이 분명하지 않으면 감행하면 안 됩니다.
부작위 편향 - 해야 할 일을 일부러 하지 않습니다. 사람들은 새롭게 적응하거나 개발하지 않고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것이 오히려 더 큰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입니다. 예시로 세무사에 수입을 신고하지 않는 것을 세금서류를 위조하는 것보다 덜 나쁘다고 여기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.
이기적 편향 - 우리는 잘되면 성과를 우리 탓 잘못되면 외부요인으로 돌립니다. 이러한 사례는 무수합니다. 진실을 말해주는 친구들이 있다면 무시하지 말고 그들의 객관적인 조언을 귀담아듣는 게 중요합니다.
결과 편향 - 사람들은 자주 과정의 질이 아닌 결과를 보고 의사판단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 결과가 어떻게 되든 간에 이성적이고 스스로 납득할 만한 이유가 있어서 내린 결정이라면, 다음번도 똑같이 행동해도 좋습니다.
생존 편향 - 부정적인 현상이 긍정적인 일보다 더 크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. 내가 100만 원을 벌고 50만 원을 잃었으면 50만 원이 더 아프게 느껴지는 현상입니다.
연상 편향 - 우리는 어떤 경험으로부터 감정을 동반해 이입시킵니다. 그래서 일어나지도 않은 미래에 의미를 부여하고 상상의 나래를 펼칩니다.
권위자 편향 - 자신보다 직급이나 직위가 높으면 그들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. 사람은 완벽하지 않습니다. 어떠한 분야의 전문가를 만나도 무조건적인 수긍은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
편향을 갖지 않으려면?
우리가 가진 편향은 위에 언급한 편향을 제외하고도 무수히 많습니다. 몇 개는 수긍이 가는 것도 있을 것입니다. 이는 팀이나 회사, 인간관계 전반에 좋지 않은 영향을 펼칩니다. 그렇다면 편향을 갖지 않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?
우리가 편향(선입견)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를 갖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입니다. 내 의견이 항상 올바르진 않습니다. 상대방의 의견도 마찬가지입니다. 그렇지만 내가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 사이에서 고집만 한가득이라면 편협적인 시선에서 갇혀 살고 있음과 마찬가지입니다.
자존감에 관한 고찰
자존감이란 자아존중감을 얘기합니다. 자신이 사랑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믿고 스스로를 아끼며 성과를 이루어 낼 만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마음을 의미합니다. 즉 자기 효능감, 자기
hgaby.tistory.com
'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목소리 좋아지는 방법 5가지 (0) | 2023.02.12 |
---|---|
유튜브 조회수 빠르게 늘리기 위한 7가지 방법 (0) | 2023.02.12 |
집 정리 습관 중요한 이유 그리고 정리법 (0) | 2023.02.12 |
스피치 잘하는 7가지 방법 (어른, 성인) (0) | 2023.02.12 |
자존감에 관한 고찰 (0) | 2023.02.10 |
직장인 비지니스 용어 정리 (0) | 2023.02.10 |
VPN 이란 무엇인가요? 자세히 알아보기 (0) | 2023.02.10 |
프리미어 프로 vs 파컷 프로 비교분석 및 추천 (0) | 2023.02.1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