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키워드 단가를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. 내가 쓰고 싶은 키워드를 사용하고 싶다면 크게 구글플래너나 카카오 키워드 플래너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블로그 광고 키워드 단가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키워드 단가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
우리는 블로그를 단순 일기용으로 활용을 한다면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할 필요가 없습니다. 블로그를 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올린 광고에 대한 단가를 확인하기 위함인데 단가를 확인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그중 우리가 대중적으로 보기 좋은 방법으로는 카카오 키워드 플래너, 구글 키워드 플래너 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.
구글 플래너
구글 ADS 홈페이지에 접속 - 가입 - 캠페인 없이 계정 만들기 - 비즈니스 정보 확인 - 가입완료 하시고 나서 구글플래너를 통해 단가확인이 가능합니다.
검색을 했을 때 여러 가지가 뜨는데 우리가 가장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은 최저 상단입찰가 및 최고 상단 입찰가입니다. 생각보다 구글 플래너의 경우 키워드의 단가확인이 쉽기 때문에 즐겨찾기 해놓으신다음 찾아보시면 수월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.
카카오 플래너
카카오 키워드를 검색 후 키워드 광고 - 카카오비즈니스 접속 - 로그인(필수) - 채널 1개 만들기 - 상단 목록에서 광고 클릭 - 키워드광고 - 광고계정(나의 것) 이름 클릭 - 왼쪽 목록바에서 광고자산 관리 - 키워드 플래너를 입력 후 실행하시면 됩니다. 구글 플래너보다 조금 복잡한데 여러 번 들어가다 보면 꽤나 익숙해질 것입니다.
여기서 광고요청수는 사람들이 1달에 클릭한 횟수를 의미하고 클릭수는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의미합니다.
모바일과 PC를 나눠서 볼 수 있으며 구글 플래너와 단가가 거의 비슷한 느낌입니다.
결론
블로그를 하고 내가 원하는 블로그의 글을 쓰면 광고가 붙습니다. 원하는 모든 키워드를 내 광고에다 다 붙일 수 없기에 블로그를 매일 쓰라는 이유가 내가 광고주들에게 나 매일 이렇게 열심히 써요라고 관심을 보여주는 것 자체가 광고 단가가 올라가는데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. 그래서 포스팅을 계속 죽이 되던 밥이 되던 쓰는 게 좋습니다.
물론 카카오 플래너 혹은 구글 플래너에서 나오는 키워드 단가에 따라 무조건 그 정도 수익이 나온다는 보장은 없습니다. 광고주가 광고를 태우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 또한 저기에 보이는 수익에서 3할을 구글이 가져가고 나에게 7할이 떨어지는데 블로그를 하신 지 얼마 안 됐다면 단가가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은 분명히 기억해야 합니다.
<함께 보기 좋은 자료>
포스팅, 글을 빨리 쓰는 개인적인 방법
블로그를 하면서 글을 빨리 쓰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. 그래서 제가 생각한 글을 빨리 쓰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 크게 수동포스팅과 자동포스팅으로 나눌 수 있
hgaby.tistory.com
구글 seo란 무엇인가? 알아보기
네이버나 다음은 상위노출이 비교적 구글보다 쉽습니다. seo란 웹사이트가 검색을 통해서 검색엔진에 상위에 랭크할 수 있도록 만드는 최적화 과정을 의미합니다. 그래서 정보화 시대 우리는 많
hgaby.tistory.com
티스토리 리캡챠란? 원인 및 해결방법
티스토리에 블로그 개설한 지 2달 정도 지난 지금 열심히 글을 작성하던 중에 갑자기 로봇이 아닙니다라는 리캡챠요구가 떴습니다. 이것이 오류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계속 리캡챠가 뜨다 보니
hgaby.tistory.com
'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험 가입하는 이유 및 기본 개념 (보험용어 정리) (0) | 2023.03.25 |
---|---|
유튜브 재사용 콘텐츠 의미와 해석 (0) | 2023.03.13 |
워드프레스 1분만에 html 코드 집어넣기 (애드센스) (0) | 2023.03.12 |
상표권 저작권 관련 주의사항 알아보기 (0) | 2023.02.28 |
휴대폰 용어 알아보기 (신규가입, 번호이동, 기기변경) (0) | 2023.02.26 |
빅맥지수란? 뜻과 우리나라 지수 (0) | 2023.02.25 |
ai 그림 미드저니 사용 방법 및 저작권 알아보기 (0) | 2023.02.24 |
포스팅할때 편리한 웹스토어 도구 top3 (0) | 2023.02.22 |
댓글